맨위로가기

갈라 플라키디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라 플라키디아는 서로마 제국의 황족으로, 테오도시우스 1세의 딸이다. 어린 시절 스틸리코 가문에서 자랐으며, 서고트족의 아타울프와 결혼하여 아들을 낳았으나 일찍 사망했다. 이후 콘스탄티우스 3세와 결혼하여 발렌티니아누스 3세를 낳았으며, 콘스탄티우스 3세 사후 아들의 섭정으로 로마를 통치했다. 말년에는 딸 호노리아가 훈족의 아틸라에게 구혼받는 사건이 있었으며, 450년에 사망했다. 그녀의 생애는 여러 문학 작품과 영화, 드라마에서 다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88년 출생 - 요홍
    요홍은 후진의 마지막 황제로, 유약한 성격과 동생의 위협 속에서 즉위 후 동진의 북벌에 패배하여 처형당하며 후진을 멸망시킨 요흥의 장남이다.
  •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 아드리아노폴리스 전투
    아드리아노폴리스 전투는 378년 고트족과 동로마 황제 발렌스 간의 전투로, 로마군이 참패하고 발렌스 황제가 전사하면서 로마 제국의 군사적 권위가 실추되는 결과를 낳았다.
  •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 콘스탄티누스와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치하의 동로마 제국
    콘스탄티누스와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시대의 동로마 제국은 로마 제국 분열 후 동쪽 지역으로, 콘스탄티누스 1세의 기독교 공인, 콘스탄티노폴리스 건설 등 독자적인 발전의 기틀을 다졌으나 경제 불균형, 잦은 외세 침략, 아드리아노플 전투 패배 등의 어려움에 직면했다.
  • 450년 사망 - 테오도시우스 2세
    테오도시우스 2세는 408년부터 450년까지 동로마 제국을 통치한 황제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섭정 시대를 거쳐 누이 풀케리아의 영향력 아래 통치했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대학교 설립과 테오도시우스 법전 제정 등의 내정 성과와 훈족과의 굴욕적인 평화협정, 신학 논쟁에 대한 미흡한 대처로 평가가 엇갈리다 사냥 중 낙마 사고로 사망하여 동로마 제국의 권력 재편을 초래했다.
  • 450년 사망 - 니얼 노이기얼러흐
    니얼 노이기얼러흐는 아일랜드의 전설적인 인물로 왕위 계승 시험과 경쟁을 거쳐 왕이 되었으며, 에오차이드 막 에나에 의해 살해당했고, "아홉 명의 인질"이라는 별칭과 Y 염색체 분석으로 직계 후손이 확인되었다.
갈라 플라키디아
기본 정보
갈라 플라키디아 주화
갈라 플라키디아의 트레미시스
칭호아우구스타
재위421년
출생일392년/393년경
사망일450년 11월 27일 (57–58세)
매장지로마 (그녀는 갈라 플라키디아 영묘, 라벤나에 묻히지 않음)
배우자아타울프
콘스탄티우스 3세
자녀테오도리두스
유스타 그라타 호노리아
발렌티니아누스 3세
가문테오도시우스 가문
발렌티니아누스 가문
아버지테오도시우스 1세
어머니갈라
종교니케아 기독교
이름
라틴어Aelia Galla Placidia (아엘리아 갈라 플라키디아)
왕족 정보
왕비 칭호서고트 왕비
로마 황후

2. 가족 관계 및 초기 생애

갈라 플라키디아는 테오도시우스 1세와 그의 두 번째 부인인 갈라의 딸이었으며, 갈라는 발렌티니아누스 1세와 그의 두 번째 부인인 유스티나의 딸이었다.[1],[2] 출생 연도는 기록되지 않았지만, 388~389년 또는 392~393년 사이에 태어났을 것이다.[3] 어머니 갈라는 394년경에 사망했는데, 아마도 사산된 아들을 낳다가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7]

플라키디아는 황제 아르카디우스와 호노리우스의 이복 누이였다. 390년대 초 아버지로부터 자신만의 가계를 부여받아 미성년임에도 재정적으로 독립했다. 394년 메디올라눔(밀라노)에 있는 아버지의 궁정에 소환되었으며, 395년 1월 17일 테오도시우스의 죽음에 임석했다. 어린 시절 "노빌리시마 푸엘라"(가장 고귀한 소녀)라는 칭호를 받았다.

플라키디아는 어린 시절 대부분을 스틸리코와 그의 아내 세레나의 가문에서 보냈다. 직조자수를 배웠을 것으로 추정되며, 고전 교육을 받았을 수도 있다.

2. 1. 스틸리코와의 관계

플라키디아는 어린 시절 대부분을 스틸리코와 그의 아내 세레나의 가문에서 보냈다. 직조자수를 배웠을 것으로 추정되며, 고전 교육을 받았을 수도 있다. 플라키디아는 스틸리코와 세레나의 외아들인 에우케리우스와 약혼했다. 이는 스틸리코 가문과 테오도시우스 왕조 간의 세 번째 결합이었다.

스틸리코서로마 제국의 ''마기스테르 밀리툼''이었다. 408년, 아르카디우스가 죽고 그의 아들 테오도시우스 2세가 즉위하자, 스틸리코는 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가서 "테오도시우스의 업무를 관리"할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마기스테르 스크리니이''인 올림피우스는 호노리우스에게 스틸리코가 테오도시우스 2세를 폐위시키고 에우케리우스를 옹립하려 한다고 모함했다. 결국 스틸리코는 408년 8월 22일 호노리우스의 명령으로 체포되어 처형되었고, 에우케리우스 또한 로마에서 체포되어 처형되면서 플라키디아와의 약혼은 파기되었다.

3. 첫 번째 결혼: 아타울프와의 결혼

스틸리코의 몰락 이후 발생한 혼란 속에서 이탈리아 도시에 거주하던 ''포에데라티''의 아내와 자녀들이 살해당했다.[17] 스틸리코에게 충성한다고 여겨지던 대부분의 ''포에데라티''들은 서고트족의 왕 알라릭 1세의 군대에 합류했다.[17] 알라릭은 그들을 로마로 이끌어 포위했으며,[17] 408년 가을부터 410년 8월 24일까지 소규모 중단을 제외하고 포위가 이어졌다. 조시무스는 갈라 플라키디아가 포위 기간 동안 도시에 있었다고 기록했다.[14][12]

로마 약탈 이후, 갈리아로 이동한 서고트족의 왕 아타울프는 413년 요비누스와 세바스티아누스를 격파하여 처형했다.[18] 이후, 아타울프와 호노리우스의 관계가 개선되어 414년 1월 1일 나르본에서 아타울프는 갈라 플라키디아와 결혼식을 올렸다.[18] 프리스쿠스 아탈루스가 결혼 연설을 했다.[18] 이 결혼은 호화로운 로마 축제와 웅장한 선물로 축하했다.

=== 아들 테오도시우스의 죽음 ===

플라키디아와 아타울프는 414년 말 바르셀로나에서 아들 테오도시우스를 낳았지만, 이 아이는 이듬해 초에 일찍 죽어 로마-서고트 가문의 기회를 잃었다.[12] 수년 후 시신은 발굴되어 로마 성 베드로 대성전의 황실 묘소에 다시 묻혔다.

=== 아타울프의 죽음 ===

히스파니아에서 아타울프는 "두비우스" 또는 "에베르울프"로 알려진, 게르만족 족장 사루스의 전 추종자를 시종으로 받아들였는데, 그는 사루스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은밀히 갈망했다. 415년 8월/9월, 바르셀로나 궁전에서 그 남자는 아타울프가 목욕하는 동안 그를 죽였다. 아타울프 사후, 아말 파벌은 사루스의 형제인 시게릭을 서고트족의 왕으로 선포했다. 시게릭은 아타울프의 아이들을 죽이고, 갈라 플라키디아를 학대했다.[19] 하지만 시게릭은 7일만에 암살당하고, 아타울프의 친척인 왈리아가 왕위를 계승했다.[19]

3. 1. 아들 테오도시우스의 죽음

플라키디아와 아타울프는 414년 말 바르셀로나에서 아들 테오도시우스를 낳았지만, 이 아이는 이듬해 초에 일찍 죽어 로마-서고트 가문의 기회를 잃었다.[12] 수년 후 시신은 발굴되어 로마 성 베드로 대성전의 황실 묘소에 다시 묻혔다.

3. 2. 아타울프의 죽음

로마 약탈 이후, 갈리아로 이동한 서고트족의 왕 아타울프는 413년 요비누스와 세바스티아누스를 격파하여 처형했다.[18] 이후, 아타울프와 호노리우스의 관계가 개선되어 414년 1월 1일 나르본에서 아타울프는 갈라 플라키디아와 결혼식을 올렸다.[18] 프리스쿠스 아탈루스가 결혼 연설을 했다.[18] 플라키디아와 아타울프는 바르셀로나에서 아들 테오도시우스를 낳았지만, 이듬해 초에 일찍 죽었다.[12] 히스파니아에서 아타울프는 "두비우스" 또는 "에베르울프"로 알려진, 게르만족 족장 사루스의 전 추종자를 시종으로 받아들였는데, 그는 사루스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은밀히 갈망했다. 415년 8월/9월, 바르셀로나 궁전에서 그 남자는 아타울프가 목욕하는 동안 그를 죽였다. 아타울프 사후, 아말 파벌은 사루스의 형제인 시게릭을 서고트족의 왕으로 선포했다. 시게릭은 아타울프의 아이들을 죽이고, 갈라 플라키디아를 학대했다.[19] 하지만 시게릭은 7일만에 암살당하고, 아타울프의 친척인 왈리아가 왕위를 계승했다.[19]

4. 두 번째 결혼: 콘스탄티우스 3세와의 결혼

416년, 고트 왕 발리아는 로마인과 조약을 맺고 지원을 받는 대가로 플라키디아를 돌려보냈다.[12] 417년 1월, 오빠 호노리우스에 의해 강제로 플라키디아는 장군 콘스탄티우스 (콘스탄티우스 3세)와 결혼했다. 두 사람 사이에는 발렌티니아누스 3세가 될 아들과 딸 유스타 그라타 호노리아가 태어났다. 421년, 남편 콘스탄티우스는 호노리우스에 의해 공동 황제로 임명되었지만, 동로마 제국은 콘스탄티우스의 황제 칭호를 찬탈로 인정하지 않았다. 격분한 콘스탄티우스는 군단을 조직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공격하려 했으나, 원정 준비가 끝나기 전에 사망했다. 이 때문에 플라키디아는 서쪽에서는 아우구스타로, 동쪽에서는 아우구스타의 찬탈자로 여겨졌다.

4. 1. 콘스탄티우스 3세의 공동 황제 즉위와 죽음

417년 1월 1일, 갈라 플라키디아는 서로마 황제 호노리우스의 강요로 콘스탄티우스 3세와 결혼했다.[12][20] 이 결혼으로 유스타 그라타 호노리아와 발렌티니아누스 3세가 태어났다. 421년 2월 8일, 콘스탄티우스 3세는 호노리우스에 의해 공동 황제(아우구스투스)로 임명되었고, 플라키디아는 황후(아우구스타)가 되었다.[22] 그러나 동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는 이 칭호를 인정하지 않았다.[22] 콘스탄티우스 3세는 황제가 된 후 개인적인 자유와 사생활의 상실에 대해 불평했다고 하며,[22] 421년 9월 2일에 병으로 사망했다.[22]

5. 섭정: 발렌티니아누스 3세의 통치

콘스탄티우스 3세 사후, 플라키디아는 아들 발렌티니아누스 3세를 대신하여 섭정을 맡았다. 테베의 올림피오도로스에 따르면, 조시무스와 소조멘은 그녀가 오빠 호노리우스 황제로부터 받은 공개적인 애무에 대해 의심을 품었다고 한다. 하지만 남매의 관계는 갑자기 적대적으로 변했고, 플라키디아는 호노리우스의 구애를 거절하고 아이들과 함께 콘스탄티노플로 피신했다.[23][24][25]

423년 8월 15일, 호노리우스가 폐부종으로 사망하자,[26] 서로마 제국에서는 요안네스가 황제로 즉위했다. 그러나 동로마 제국테오도시우스 2세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군대를 보내 요안네스를 제거했다. 요안네스는 붙잡혀 오른손이 잘리고 당나귀에 태워진 채 거리를 행진한 후 아퀼레이아경마장에서 참수되었다.[18]

테오도시우스 2세는 425년 10월 23일, 플라키디아의 어린 아들 발렌티니아누스 3세를 자신의 괴뢰로서 서로마 제국의 황제 자리에 앉혔다.[18]

5. 1. 발렌티니아누스 3세의 즉위와 아에티우스의 부상

425년, 테오도시우스 2세갈라 플라키디아의 아들 발렌티니아누스 3세서로마 제국의 황제로 임명했다.[12] 플라키디아는 아들의 섭정으로서 초기에는 보니파키우스와 펠릭스의 지지를 받았다.[12][27] 그러나 이들은 아에티우스와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했다. 아에티우스는 아를을 서고트족의 테오도리크 1세로부터 지켜낸 인물이었다.[30]



플라키디아와 보니파키우스의 갈등은 429년에 시작되었는데, 프로코피우스에 따르면 아에티우스가 두 사람을 이간질했기 때문이었다.[33] 아에티우스는 플라키디아에게는 보니파키우스를 경계하라 조언하고, 보니파키우스에게는 플라키디아가 그를 제거하려 한다고 경고했다.[33] 보니파키우스는 아에티우스의 말을 믿고 반달족과 동맹을 맺으려 했으나, 결국 반달족의 가이세릭과 전투를 벌이게 되었다.[33] 보니파키우스는 히포 레기우스에서 포위되었으나, 로마군의 지원군과 함께 반달족에게 패배하여 아프리카를 잃었다.[33]

한편, 보니파키우스는 로마로 돌아와 플라키디아에 의해 "로마 군대의 최고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33] 아에티우스는 "야만족" 군대를 이끌고 돌아와 라벤나 전투 (432년)에서 보니파키우스와 격돌했다.[33] 보니파키우스는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치명적인 부상을 입고 사망했다.[33]

플라키디아는 충성스러운 장군들을 잃고 아에티우스의 정치적 역할을 인정해야 했다. 433년, 아에티우스는 "군사령관(magister militum)"과 "귀족(patrician)" 칭호를 받으며 서로마 군대를 장악하고 황제 정책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12] 아에티우스는 이후 아틸라에 맞서 서로마 제국을 방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2] 플라키디아는 437년까지 섭정직을 유지했으나, 영향력은 점차 줄어들었다.[12]

5. 2. 유스타 그라타 호노리아와 아틸라

갈라 플라키디아는 자신에게 충성하던 장군들이 죽거나 아에티우스에게 망명하면서 아에티우스의 정치적 역할을 정당한 것으로 인정했다.[12] 433년, 아에티우스는 "군사령관(magister militum)"과 "귀족(patrician)" 칭호를 받았으며, 이는 그가 사실상 서로마 군대를 완전히 통제하고 황제의 정책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음을 의미했다.[12] 아에티우스는 이후 아틸라에 맞서 서 로마 제국을 방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2]

아틸라는 450년 봄, 플라키디아의 딸 유스타 그라타 호노리아가 황실이 강요하려던 로마 원로원 의원과의 원치 않는 결혼으로부터 구해달라는 편지를 보내자 콘스탄티노플에서 이탈리아로 향했다.[36] 호노리아는 편지에 자신의 약혼 반지를 동봉했는데, 아틸라는 이를 결혼 제안으로 해석하고 서부 제국의 절반을 지참금으로 요구했다.[36] 발렌티니아누스 3세는 이 사실을 알고 호노리아를 죽이려 했으나, 플라키디아의 영향력으로 호노리아는 추방되었다.[36] 발렌티니아누스 3세는 아틸라에게 결혼 제안이 정당하지 않다고 서신을 보냈지만, 아틸라는 호노리아가 결백하며 제안이 정당하다고 주장하며 사절을 라벤나로 보냈다.[36] 호노리아는 바수스 헤르쿨라누스와 결혼했지만, 아틸라는 451년과 452년에 호노리아의 편지를 핑계로 갈리아와 이탈리아를 황폐화했다.[36][37]

6. 죽음과 유산

갈라 플라키디아는 평생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으며, 라벤나의 여러 교회에 기증을 했다.[12] 그녀는 영향력을 행사하는 동안 다양한 교회 건축과 복원에 관여했는데, 로마에 있는 성 바오로 대성전을 복원하고 확장했으며, 예루살렘에 있는 예수 성묘 교회를 재건했다.[12] 또한 아드리아 해를 건너는 동안 폭풍으로 자신과 자녀들의 생명을 구원받은 것에 감사하며 라벤나의 산 조반니 에반젤리스타 성당을 지었다.[12] 봉헌 비문에는 "갈라 플라키디아는 아들 플라키두스 발렌티니아누스 아우구스투스와 딸 유스타 그라타 호노리아 아우구스타와 함께 바다의 위험으로부터 구출된 것에 대한 서약을 이행했다"라고 적혀 있다.[12]

450년 11월에 플라키디아가 사망했고,[12],451년부터 453년까지 아틸라가 이끄는 훈족의 이탈리아 약탈은 보지 못했다. 아틸라의 약탈은 고트족의 약탈보다 더 잔혹했다. 플라키디아가 죽자 서로마 제국 사람들의 증오는 발렌티니아누스 3세에게 집중되었고, 후에 발렌티니아누스 3세가 교회 앞 광장에서 암살되었을 때 그 자리에 있던 서로마 제국의 사람들 중 황제를 도우려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그녀의 영묘는 1996년에 등재된 유네스코 세계 유산 중 하나이다.[12] 그러나 이 건물은 그녀의 무덤으로 사용된 적이 없으며, 처음에는 로마의 라우렌티우스에게 헌정된 예배당으로 세워졌다.[12] 그 안에 있는 석관에 테오도시우스 왕조의 다른 구성원들의 시신이 안치되었는지, 또는 언제 그들이 건물에 안치되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12]

7. 문화적 묘사

갈라 플라키디아는 여러 문학 작품과 영화, 드라마 등에서 등장하며, 그녀의 파란만장한 삶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38][39][40][41]

알렉산드르 블로크의 시 "라벤나"(1909년 5월~6월)의 두 연은 그녀의 무덤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올가 마티치는 "블로크에게 갈라 플라키디아는 서로 다른 문화적 역사를 연결하는 종합적인 역사적 인물이었다."라고 썼다.[38] 에즈라 파운드는 칸토 XXI에서 그녀의 무덤을 "어둠 속에서 금이 바랜다,/ 푸른 검은 지붕 아래, 플라키디아의..."라며 과거에서 남은 "금"의 예시로 사용했다.[39] 루이스 주코프스키는 그의 시 "4개의 다른 나라"에서 "어둠 속에서 빛나는 금/ 갈라 플라키디아의,/ 둥근 금고 바닥의 돌/은 별뿐만 아니라 패턴을 보여준다/ 내 사랑은 그녀의 바닥에 원할지도 모른다..."라며 그녀를 언급했다.[40]

카를 융은 그의 자서전 ''기억, 꿈, 성찰''에서 네오니안 세례당에서 경험한 환상에 대해 이야기하며 "갈라 플라키디아의 모습에 개인적으로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그녀의 무덤은 그녀의 개성에 도달할 수 있는 마지막 유산처럼 보였다. 그녀의 운명과 그녀의 모든 존재는 나에게 생생한 존재였다"라고 덧붙였다.[41]

R. A. 러퍼티의 반역사적 작품인 ''로마의 몰락''에서 갈라 플라키디아는 주요 조연으로 등장하며, "열일곱 살에, 다른 모든 사람들이 위축되었을 때, 로마 원로원과 도시를 장악하고 세상의 마지막 백 일 동안의 저항을 나타낸 고블린 아이이자 두 어린 황제의 여동생"으로 묘사된다.[42]

갈라 플라키디아가 콜레트 레지스에 의해 묘사된 모습, 영화 ''아틸라''


BBC의 다큐멘터리 ''고대 로마: 제국의 흥망성쇠''에서 갈라 플라키디아는 나타샤 바레로에 의해 묘사되었다. 스페인 음악가 자우메 파이사는 1913년에 오페라 ''갈라 플라시디아''를 작곡했다. 1954년 영화 ''아틸라''에서는 콜레트 레지스가, 2001년 미국 TV 미니시리즈 ''아틸라''에서는 앨리스 크리게가 갈라 플라키디아를 연기했다.

참조

[1] 서적 Galla Placidia Augusta: A Biographical Essa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 서적 Theodosius: the Empire at Bay Routledge
[3] 서적 Galla Placidia: The Last Roman Empress Oxford University Press
[4] 문서
[5] 논문 "Gratian, a Son of Theodosius, and the Birth of Galla Placidia."
[6] 서적 Honorius: the Fight for the Roman West Routledge
[7] 문서
[8] 문서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9] 문서
[10] 서적 Theodosian empresses: women and imperial dominion in late antiqui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 서적 Child Emperor Rule in the Late Roman West, AD 367–455 OUP Oxford
[12] 웹사이트 An Online Encyclopedia of Roman Emperors
[13] 웹사이트 In Praise of Serena https://penelope.uch[...]
[14] 문서 Historia Nova
[15] 웹사이트 On the Consulship of Stilicho https://penelope.uch[...]
[16] 문서 Prosopography of the Later Roman Empire
[17] 웹사이트
[18] 웹사이트 Western Roman Emperors of the First Quarter of the Fifth Century http://www.roman-emp[...]
[19] 문서 Olympiodorus Fragment 26
[20] 간행물 Flavius Constantius, Galla Placidia, and the Aquitanian Settlement of the Goths
[21] 웹사이트
[22] 웹사이트 Western Roman Emperors of the First Quarter of the Fifth Century http://www.roman-emp[...]
[23] 문서 Olympiodorus Fragment 38–40
[24] 논문 "Olympiodorus of Thebes and the History of the West (A.D. 407–425)"
[2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26] 웹사이트 An Online Encyclopedia of Roman Emperors
[27] 웹사이트 An Online Encyclopedia of Roman Emperors
[28] 웹사이트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29] 웹사이트 http://laststatues.classics.ox.ac.uk, LSA-406 (J. Lenaghan) http://laststatues.c[...]
[30] 문서 Epitoma chronicon
[31] 문서 carmen
[32] 문서 fragment 201.3
[33] 문서 History of the Wars
[34] 서적 Empress Galla Placidia and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McFarland & Company
[35] 문서
[36] 간행물 An Online Encyclopedia of Roman Emperors
[37] 서적 Rome's Christian Empress: Galla Placidia Rules at the Twilight of the Empi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5
[38] 서적 Erotic Utopia: The Decadent Imagination in Russia's Fin de Siècle Univ. of Wisconsin Press 2007
[39] 웹사이트 The Cantos Project – XXI – Poem http://thecantosproj[...] University of Edinburgh 2018-12-29
[40] 서적 A https://books.google[...] New Directions Publishing
[41] 서적 Memories, Dreams, Reflections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11
[42] 서적 The Fall of Rome Doubleday 1971
[43] 서적 美しきイタリア 22の物語 光文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